축산항등대(Chuksan Hang Lighthouse)

    설명

    축산항등대
    축산항등대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산 106-1번지에 자리한 무인등대이다.

    이 백색의 원형 등대는 영덕 축산항 입구가 되는 죽도산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2011년에 등대에 전망대 기능을 더하여 축산항과 인근 해안선, 그리고 동해바다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등대정보

    번호1295 / M4424
    위치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축산리 산 106-1
    36-30-26.7N 129-27-04.0E
    등고102m
    높이23m
    관할기관포항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1935년 3월
    광파표지Fl W 5s 102m 20NM(37km)

    연혁

    • 1924년 3월 : 일제의 축산항 개발
    • 1935년 3월 : 죽도산 정상에 등대 건설(죽도산등대)
    • 1945년(정확한 년도 미상) : 미군의 폭격 목표물이라는 이유로 등대 철거
    • 1949년 2월 : 등대 재건축
    • 2011년 5월 : 등탑에 죽도산 전망대 설치

    기타

    등대가 위치한 산인 죽도산(竹島山)은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원래는 섬이었던 곳이다. 기록삭으로는 조선시대까지 섬이었으나 이후 사주의 발달에 의해 육계도가 되었고, 일제 강점기 축산항을 개발할 당시 사주를 완전 매립하면서 현재의 도시형태에 이르게 되었다.

    참고로 우리나라 동해안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강 어귀 부근에서는 모래톱(사주)가 발달하는데 만일 인근에 원래 섬이었던 지형이 있을 경우 이 부근까지 사주가 연장되어 육계도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꽤 있다.(삼척시 마읍천 덕봉산, 강릉시 남대천 죽도봉, 경포천 씨마크 호텔 죽도봉, 양양 동명천 오산봉 사례)

    만일 이 중 축산항과 같이 강 어귀 인근에 항만이 들어설 경우에는 이 사주를 매립하여 사용하며, 원래 섬이었던 곳은 사라지거나 항만 인근 야트막한 언덕의 형태로 남게 된다.(축산항 죽도산, 삼척항 육향산 사례)

    댓글

    이 블로그 인기글

    유조선 통항금지해역(The Traffic Prohibited Area for Tankers of Korea Coastal Area)

    한국의 해양지명(Korean Coastal Names) - 육지가 끝나는 곳

    ECMWF - 유럽 중기 예보 센터

    사라말등대(Saramal Lighthouse)

    서이말등대(Seoimal Lighthouse)

    제주항로 운항 여객선 노선 및 총톤수

    기사문등대(Gisamun Light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