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변등대(Jukbyeon Lighthouse)

설명

죽변등대
죽변등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등대길 52(죽변리 1-23번지)에 자리한 유인등대(항로표지관리소)로 이 위치는 죽변항 북쪽 해안 절벽이 돌출해 나간 해안단구의 정상부로 용의 꼬리가 되는 의미인 용추곶(용태미)이라고 하는 곳이다.

8각형 백색 콘크리트 기둥으로 세워진 이 등대의 등탑은 약 16m의 높이로 인근 해역의 육지초인표지(항해목표물)가 되고 있으며, 특히 등대 인근 앞바다는 다수의 암초군이 산재하고 있어 항해시 주의해야 하는 해역이다.

이 등대가 있는 용추곶은 대한민국(남한) 동해안 해안선의  거의 중간지점 부근에 해당하는 곳이며, 동시에 울릉도와의 직선거리가 가장 가까운 곳(약 130km)이기도 하다.

등대정보

번호1279 / M4432
위치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죽변리
37-03-29.5N 129-25-46.2E
등고49m
높이16m
관할기관포항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1910년 11월 24일
광파표지Fl W 20s 49m 27NM(50km) / 명호: 162~352º
음파표지Horn(No.4314) 50초 1회 / 3NM(5.6km)

연혁

  • 549년 : 진흥왕 10년, 용추곶 위치에 왜구를 막기 위한 성곽 축성
  • 1904년 : 러일전쟁 시기 일본군의 해상 감시용 망루 설치
  • 1910년 11월24일 : 등대 점등
  • 1911년 : 일제의 층략사업으로 수로측량 원표 설치
  • 1950년 6월 : 한국전쟁 당시 함포 포격으로 등대 기능 상실
  • 1951년 10월 : 등탑 보수 및 등대기능 복구
  • 1970년 4월 : 무(霧)신호기 설치
  • 2005년 9월 20일 : 등탑 문화재 지정(경상북도 기념물 제154호)

기타

  • 용추곶은 용의 꼬리가 바다에 잠긴 곳이라 하여 조선시대에는 가뭄이 들 때 마다 이 곳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 등대 북쪽 인근에 드라마 "폭풍속으로" 세트장이 자리하고 있다.
  • 등대 바로 북쪽의 몽돌해변 해안선의 형상이 하트 모양으로 보인다고 하여 하트해변이라는 별명이 붙어있다.


댓글

이 블로그 인기글

유조선 통항금지해역(The Traffic Prohibited Area for Tankers of Korea Coastal Area)

한국의 해양지명(Korean Coastal Names) - 육지가 끝나는 곳

ECMWF - 유럽 중기 예보 센터

제주항로 운항 여객선 노선 및 총톤수

기사문등대(Gisamun Lighthouse)

사라말등대(Saramal Lighthouse)

서이말등대(Seoimal Light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