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등대(Yeongdo Lighthouse)

    설명

    영도등대
    영도등대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대공원 남동쪽 맨 끝자락 해안 절벽 위에 설치된 등대(항로표지관리소)로 부산항(남항)의 남쪽(남해, 제주도 방면 항로)에서 접근하는 선박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는 등대이다.

    처음 건설 당시에는 목도등대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절영도등대를 거쳐 현재의 이름(영도등대/영도항로표지관리소)이 되었다.

    등대정보

    번호2004 / M4356
    위치부산광역시 영도구 전망로 181(동삼동 1054번지)
    35-03-08.4N 129-05-31.8E
    등고87m
    높이34m
    관할기관부산지방해양수산청
    점등일자1906년 12월 1일
    광파표지Fl (3) W 18s 87m 24NM(44.5km) / 명호: 205~045º
    음파표지Horn 45초 1회(취명 5초, 정명 40초) / (No.4351)
    전파표지DGPS국(No.4205) 300㎑, 송신국 660, 기준국 720, 721

    연혁

    • 1906년 12월 1일 : 등대 점등(목도등대) Fl (2+2) W 15s
    • 1926년 : 무(霧)신호 설치(5초 취명, 40초 정명)
    • 1948년 1월 4일 : 절영도등대로 명칭변경
    • 1958년 : 무선방위 신호 설치
    • 1961년 1월 7일 : Fl (2) W 22s로 등질변경
    • 1964년 1월 1월 4일 : Fl W 18s로 등질변경
    • 1974년 12월 31일 : 영도등대로 명칭변경
    • 1988년 8월 1일 : 영도항로표지소로 명칭변경
    • 1990년 11월 13일 : Fl (3) W 18s로 등질변경
    • 1999년 10월 18일 DGPS국 설치
    • 2004년 8월 : 신등탑 건설 및 시설 전면개축
    • 2019년 7월 : 오륙도등대 무인화에 따라 오륙도등대 제어관리 임무 인수

    기타

    • 날씨가 좋을 경우 이 등대에서 일본 대마도(쓰시마)의 조망이 가능하다.
    • 영도등대는 부산이라는 대도시에 있는 등대인데다 인근에 태종대 공원이 함께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좋은 등대이다. 카페와 도서실, 전시실이 같이 있으며, 등탑 전망대도 한번에 40명까지 올라가서 주변을 볼 수 있다.
    • 영도등대에 병설된 DGPS국은 영도등대와는 약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 영도등대 남쪽 해상에는 주전자섬이라고 불리는 바위섬(노출암)이 자리잡고 있으며, 그 위에 생도등표라고 불리는 고립장애표지 등표가 하나 설치되어 있다.(Fl (2) W 5s 57m 8NM)

    댓글

    이 블로그 인기글

    유조선 통항금지해역(The Traffic Prohibited Area for Tankers of Korea Coastal Area)

    한국의 해양지명(Korean Coastal Names) - 육지가 끝나는 곳

    ECMWF - 유럽 중기 예보 센터

    사라말등대(Saramal Lighthouse)

    서이말등대(Seoimal Lighthouse)

    제주항로 운항 여객선 노선 및 총톤수

    기사문등대(Gisamun Lighthouse)